냉각탑 보충수의 산정(개방식,밀폐식)
※ 보충수량(△L) = 증발양(WE) + 비산양(WD) + 블로우다운양(WB)
냉각수 입구온도(37℃) , 냉각수 출구온도(32℃) , 외부 습구온도(27℃)
델타티 5℃임으로 증발양은 순환수량의 약0.84%로 보면됩니다.
따라서 보충수량은 1.24% ~ 1.8%(개방형냉각탑) , 1.19% ~ 2.0%(밀폐형냉각탑)입니다.
1.증발량(WE)kg/h
-냉각탑에서 온수를 냉각하는 방법은 그 온수의 일부를 증발시켜서 온수로 부터 증발열을
빼앗아서 수온을 낮추며 따라서 물의 일부는 감량되어 갑니다.
WE = Q/600 = (tw1 - tw2)/600 × L × C
WE : 증발량(kg/h)
Q : 냉각열량(kcal/h)
600 : 물의 증발잠열(kcal/kg)
tw1 : 입구수온(℃)
tw2 : 출구수온(℃)
L : 순환수량(kg/h)
C : 물의 비열(1kcal/kg℃)
2.비산양(WD)kg/h
-휀(송풍기)에 의해 바람과 함께 물방울이 같이 대기중으로 날아감으로서 수량이 감량된다.
이것을 CARRY OVER라 하며 냉각탑의 종류(원형,사각직교류형,사각대향류형,산업용,기타),
냉각탑 용량(RT),동력부(모터용량,휀용량,감속기용량 등)에 따라 좌우된다.
냉각탑마다 유동성은 있으나 대략 순환수량의 0.1%(개방형냉각탑) ~ 0.05%(밀폐형냉각탑)
정도 입니다.
3.블로우 다운양(WB)kg/h
-blow down이란 순환수의 일부를 드레인 시키는 겁니다. 블로우다운을 하는 이유로는
물속에 함유된 광물질성분(ca,mg,ci등)의 농축으로 인한 스케일 및 실리카 성분으로의 변형방지 및
배관의 부식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블로우다운 방법으로는 냉각탑 하부수조의 드레인 밸브를 열어주거나 , 보충수 밸브를 강제적으로
열어서 오버플로우 하거나 , 정기적으로 물을 교체(청소 및 주기적으로 드레인)하는 방법이있다.
-일반적으로 순환수량의 0.3%(개방형,밀폐형동일)정도로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