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산염피막처리(=흑피막)
금속(철강) 에 화학적반응을 주어 피막을 형성케 하여 금속의 표면을 녹슬지 않게 하는 방법 |
(금속의 고유성질을 바꾸는 것) 1906년에 T.W.코슬렛이 발명하고 1915년 파커회사 가 개발하여 |
그 이름을 따서 , PARKERIZING(파커라이징) 이라고 한다. |
망간이나 아연과 같은 금속의 제1인산염수용액을 끓는점 가까이까지 열한것 속에 청강제품을 담그면 표면에 |
불용성인 철제2및 제3인산염이 형성된다. 이피막은 물에도 녹지 않고 치밀하여 표면을 잘 뒤덮으므로 |
방식효과가 크며 도장의 바탕이 되기도 한다
2>흑색산화피막처리 (=일명 흑착색 = 알칼리 흑착색) |
흑색산화피막은 피막을 입힘으로써 치수가 커지게 되면 안되는 활동부품(Sliding Part)에 특히 적합하다. |
그러나 내식성은 양호하지 못해 장기간 보관할 부품에는 적당하지 않다.이피막은 흑색을 나타내므로 장식용이나 |
광선 반사를 감소시키는데 자주 사용된다. 페인트나 락카를 사용하기 위한 예비처리로써 흑색산화피막을 |
사용하지 않으며, 그러한 용도에는 인산염피막이 더 적절하며 내식성도 좋다 |
일명 흑착색이라 불리우며.. 영문으로는 BLACK FAST 라고 한답니다.
흑착색과 흑피막 처리 방법
알칼리염처리는 흔히 흑착색이라고 합니다.
(150도의 용액에서 5~10분간 처리)
내부식성이 약하지만 표면 처리후 칫수의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그러므로 정밀가공품의 후처리에 많이 쓰이지요..
인산염처리는 흔히 흑피막이라고 부릅니다..
(100도의 용액에서 5~10분간 처리)
내부식성이 강하지만 표면 처리후 칫수의 변화가 생깁니다..
표면막의 두께가 +0.02mm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용접제품 등의 산화예방에 주로 쓰입니다..
두가지 모두 처리후에는 검은색이 되는데
흑착색은 무광이고 흑피막은 유광입니다..
검게 후처리된 제품이 반짝거린다면 흑피막으로 보면 됩니다..
출처 : 기러기의 5번가
글쓴이 : 카중이 원글보기
메모 :
'규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절삭력과 절삭동력 (0) | 2018.07.21 |
---|---|
[스크랩] 타이밍풀리 (TIMING PULLEY) - MXL, XL, L, H, XH, XXH (0) | 2018.02.10 |
[스크랩] 열처리의 종류 (0) | 2017.10.28 |
[스크랩] 인산염피막(흑피막)과 흑착색의 차이 (0) | 2016.05.09 |
[스크랩] 인치나사 규격표(유니파이) (0) | 2016.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