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텐레스의 분류 |
스텐레스의 분류 |
구 분 |
기존조직 |
Austenite Type |
Martensite Type |
Ferrite Type |
대표강종 |
STS304 |
STS410 |
STS430 |
대표성분 |
18%Cr-8%Ni |
13%Cr |
18%Cr |
열 처 리 |
고용화 열처리 |
풀림 후 급냉 |
풀림 |
경 화 성 |
가공 경화 |
Quenching 경화 |
비 Quenching 경화 |
주 용 도 |
- 건축물 내,외장재 - 주방용기 - 화학 Plant - 항공기용 |
- 건축재 부품 - 자동차 부품 - 가전용, 사무기기 - 주방기구, 식기류 |
- 건축재 부품 - 자동차 부품 - 가전용, 주방기구 - 식기류 |
품 질 특 성 |
내 식 성 |
높음 |
보통 |
높음 |
강 도 |
높음 |
높음 |
보통 |
가 공 |
높음 |
낮음 |
보통 |
자 성 |
상자성 |
상자성 |
상자성 |
용 접 성 |
높음 |
낮음 |
보통 |
|
|
강종별 비중 |
적 용 강 종 |
비 중 |
304, 304L, 321 |
7.93 |
316, 316L, 316JI, 316JIL 309S, 310S, 347 |
7.98 |
430 |
7.70 |
|
|
스텐레스 중량표 및 톤당 매수 |
강종 |
STS 304 (비중 7.93) |
STS 430 (비중 7.70) |
규격 |
1m x 2m |
1m x 3m |
1m x 4m |
4' x 8' |
1m x 2m |
4' x 8' |
두께 (mm) |
매당 중량 (kg) |
톤당 매수 |
매당 중량 (kg) |
톤당 매수 |
매당 중량 (kg) |
톤당 매수 |
매당 중량 (kg) |
톤당 매수 |
매당 중량 (kg) |
톤당 매수 |
매당 중량 (kg) |
톤당 매수 |
0.3 0.4 0.5 0.6 0.7 0.8 0.9 1.0 1.2 1.5 2.0 2.5 3.0 |
4.76 6.33 7.93 9.52 11.10 12.69 14.27 15.86 19.03 23.79 31.72 39.65 47.68 |
210 158 126 105 90 79 70 63 53 42 32 25 21 |
7.14 9.52 11.90 14.27 16.65 19.03 21.41 23.79 28.55 35.69 47.58 59.48 71.37 |
140 105 84 70 60 53 47 42 35 28 21 17 14 |
9.52 12.69 15.86 19.03 22.20 25.38 28.55 31.72 38.06 47.58 63.44 79.30 95.16 |
105 79 63 53 45 39 35 32 26 21 16 13 11 |
7.08 9.44 11.80 14.16 16.52 18.88 21.25 23.61 28.33 35.41 47.21 59.02 70.82 |
141 106 85 71 61 53 47 42 35 28 21 17 14 |
4.62 6.16 7.70 9.24 10.78 12.32 13.86 15.40 18.48 23.10 30.80 38.50 46.20 |
216 162 130 108 93 81 72 65 54 43 32 26 22 |
6.88 9.17 11.46 13.75 16.04 18.34 20.63 22.92 27.51 34.38 45.84 57.30 68.76 |
145 109 87 73 62 55 48 44 36 29 22 17 15 |
|
| |
강종별 비중 |
화학성분에 의한 분류:스테인리스강의 강종은 철의 화학성분 함유량 (C, S, Mn, P,S, Ni, Cr, etc)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1)오스트나이트계 |
강종 기호 |
Sym bol |
화학성분(%) |
C |
Si |
Mn |
P |
S |
Cr |
Ni |
기타 |
301 |
STS 301 |
≤0.15 |
≤1.00 |
≤2.00 |
≤0.045 |
≤0.030 |
16.0~18.0 |
6.0~8.0 |
|
301L |
STS 301L |
≤0.03 |
≤1.00 |
≤2.00 |
≤0.045 |
≤0.030 |
16.0~18.0 |
6.0~8.0 |
N≤0.20 |
304 |
STS 304 |
≤0.08 |
≤1.00 |
≤2.00 |
≤0.045 |
≤0.030 |
18.0~20.0 |
8.0~10.5 |
|
304L |
STS 304L |
≤0.03 |
≤1.00 |
≤2.00 |
≤0.045 |
≤0.030 |
18.0~20.0 |
9.0~13.0 |
|
304 J1 |
STS 304J1 |
≤0.08 |
≤1.70 |
≤3.00 |
≤0.045 |
≤0.030 |
15.0~18.0 |
6.0~9.0 |
Cu1.00~3.00 |
305 |
STS 305 |
≤0.12 |
≤1.00 |
≤2.00 |
≤0.045 |
≤0.030 |
17.0~19.0 |
10.5~13.0 |
|
316 |
STS 316 |
≤0.08 |
≤1.00 |
≤2.00 |
≤0.045 |
≤0.030 |
16.0~18.0 |
10.0~14.0 |
Mo2.0~3.0 |
316L |
STS 316L |
≤0.03 |
≤1.00 |
≤2.00 |
≤0.045 |
≤0.030 |
16.0~18.0 |
12.0~15.0 |
Mo2.0~3.0 |
321 |
STS321 |
≤0.08 |
≤1.00 |
≤2.00 |
≤0.045 |
0.030 |
17.0~19.0 |
9.0~13.0 |
Ti5xC% |
|
|
2)페라이트계 |
강종 기호 |
Sym bol |
화학성분(%) |
C |
Si |
Mn |
P |
S |
Cr |
Ni |
기타 |
409L |
STS 409L |
≤0.03 |
≤1.00 |
≤1.00 |
≤0.040 |
≤0.030 |
10.5~11.75 |
|
Ti6xC%이상 ~0.75 |
430 |
STS 430 |
≤0.12 |
≤0.75 |
≤1.00 |
≤0.040 |
≤0.030 |
16.0~18.0 |
≤0.60 |
|
430 J1L |
STS 304 J1L |
≤0.025 |
≤1.00 |
≤1.00 |
≤0.040 |
≤0.030 |
16.0~20.0 |
≤0.60 |
N 0.025이하, Cu 0.30~ 0.80, Ti, Nb, Zr 또는 그들의 조합 8x (C%+N%) ~0.80 |
436L |
STS 436L |
≤0.025 |
≤1.00 |
≤1.00 |
≤0.040 |
≤0.030 |
16.0~19.0 |
≤0.60 |
Mo0.75~1.25 이하, N 0.025 이하 Ti, Nb, Zr 또는 그들의 조합 8x (C%+N%) ~0.80 |
|
|
3) 마르텐사이트계 |
강종 기호 |
Sym bol |
화학성분(%) |
C |
Si |
Mn |
P |
S |
Cr |
Ni |
기타 |
410 |
STS 410 |
≤0.15 |
≤1.00 |
≤1.00 |
≤0.040 |
≤0.030 |
10.5~13.5 |
≤0.60 |
|
420 J1 |
STS 420J1 |
0.16 ~0.25 |
≤1.00 |
≤1.00 |
≤0.040 |
≤0.030 |
12.0~14.0 |
≤0.60 |
|
420 J2 |
STS 420J2 |
0.26 ~0.40 |
≤1.00 |
≤1.00 |
≤0.040 |
≤0.030 |
12.0~14.0 |
≤0.60 |
|
|
|
강종에 의한 분류:스테인리스강은 강종에 따라 화학성분 함유량 및 기계적 성질(인장강도)이 다르며 또한 제품의 성질과 특성 및 용도도 각각 달라집니다.
1)오스트나이트계 |
강종 |
조성 |
성질과 특성 |
주요용도 |
301 |
17Cr-7Ni |
Cr,Ni이 표준형 304보다 낮아 가공 유기 Martensite가 쉽게 생기는, 안정도가 낮은 Austenite계로 냉간 가공에 의해 인장강도와 경도가 높아짐. 소둔 상태에서는 비자성이나 냉간 가공 후 자성을 가짐. |
차량부품, Belt Conveyor Bolt, Nut, 태엽, Spring |
301L |
17Cr-7Ni-0.1N-저 C |
고강도 301강의 용접부 내입계 부식성을 개선한 강종으로 C감소에 의한 강도 저하를 N첨가로 강도를 확보한 강종임. |
철도 차량용 Frame 및 외장 |
304 |
18Cr-8Ni |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강종으로 Ni 이 함유되어 내식성, 내열성이 뛰어나며, 저온 강도도 가지고 있는 기계적 성질이 양호한 강종으로 열처리로서는 경화되지 않고 비자성임. |
식기 및 주방기기류, 배관, 온수기, 보일러,욕조, 머플러, 건축 내외장 |
304L |
18Cr-9Ni -저 c |
304대비 저 C함유로 내식성은 비슷하나 용접 후 열 영향은 입계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서 열처리 없이 내식성을 보유함. |
304가 입계 부식에 견디지 못하는 부위 또는 화학공업, 석탄공업, 석유공업 등 열처리가 곤란한 부품. |
316 |
18Cr-12Ni -2.5Mo |
해수 및 염분에 대한 내공식성 향상을 위해 2~3% Mo를 첨가한 강종으로, 고온에서 우수한 Creep강도를 가지고 비자성을 띔. |
제지, 화학, 합성수지, 비료 사진공업, 식품공업 등 해안부근 건축의장 |
316L |
18Cr-12Ni-2.5Mo-저C |
316강에 C함량을 감소시켜 316의 성질에 내입계성을 부여한 강종 |
용접 후 열처리가 곤란한 제품. |
321 |
18Cr-8Ni-Ti |
304강에 Ti을 첨가하여 입계 부식을 방지한 것으로 450~900℃의 입계부식 예민화 구간의 사용에 적합함. |
항공기 배관, 보일러 COVER |
|
|
2)페라이트계 |
강종 |
조성 |
성질과 특성 |
주요용도 |
409L |
11Cr-Ti -저(C,N) |
Ti, 첨가에 의한 내입계부식성 향상 및 저 C, N으로 고온, 상온에서 Fully Ferrite STS강이다. 용접성, 저온 인성이 우수하여 430대비 성형능이 우수함. |
자동차 배기관 |
410L |
13Cr-저C |
C를 저감시켜 용접성, 굴곡성, 가공성, 내고온 산화성을 우수하게 한 강종임. |
자동차 배기관, 보일러 연소실 |
430 |
18Cr |
Cr계의 대표 강종이며 가장 일반적인 강종으로 Aus'계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양호한 가공성, 내식성을 가지고 있지만, 심한 굴곡Drawing용에는 난점이 있다. 열처리에 의해 경화되지 않는 자성을 가짐. |
자동차 부품, 세탁기, 건축내장, 전기기구, 각종탱크 |
434 |
18Cr-1Mo |
430의 개량용으로 Mo를 첨가, 430보다 염분에 대해 강함. |
자동차 외장용 |
436L |
18Cr-1Mo-Ti, Nb, Zr-극저(C,N) |
해수 및 염분에 대한 내공식성 향상을 434에 C와 N을 저하시키고, TiI, Nb 또는 Zr을 단독 또는 복합 첨가한 강종으로 가공성, 용접성이 우수함. |
건축외장, 차량부품, 주방용기, 급탕, 급수설비 |
444 |
19Cr-2MoTi, Nb, Zr -극저(C,N) |
436L보다 Mo을 증가시켜 특히 내식성을 개선한 강종임. |
저탕조, 저수조, 태양열온수기, 응력부식 억제용도 |
|
|
3) 마르텐사이트계 |
강종 |
조성 |
성질과 특성 |
주요용도 |
410 |
13Cr |
Martensite계의 대표 강종으로 가격면에는 유리하나 부식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음. 가공성은 우수하고 열처리에 의해 경화됨. |
저가 칼날, 기계부품, 석유정제장치, 볼트, 너트, 펌프, SHAFT |
420J1 |
13Cr-0.2C |
소입 상태에서 경도가 높고 13Cr보다 내식성이 높은 강종임. |
터빈 브레이드 |
420J2 |
13Cr-0.3C |
420J1보다 소입후 경도가 높은 강종임. |
칼날, 노즐, 밸브, 막대자 |
440A |
18Cr-0.7C |
소입 경화성이 좋고 인성이 큰 강종임. |
칼, Cauge, Bearing |
|
|
표면에 의한 분류: 일반적으로 가공 및 표면상태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합니다.
표면기호 |
표면상태 및 가공방법 |
용도 |
NO.1 |
열간 압연후 열처리, 산세척 또는 이에 준하는 처리를 한 것. |
표면광택이 필요 없는 용도에 사용. 산업 시설재, 빌딩 구조대, 화학탱크등 |
HD |
가공경화성을 이용한 냉간압연제품으로 고경도특성을 갖게 한 것. |
고경도품, Spring용, Knife용, 철도 차량용, 압판대, Disk Break용 등. |
NO. 2B |
냉간압연후 열처리 산세척 또는 여기에 준하는 처리를 한 후 적당한 광택을 얻을 정도로 조질 냉간 압연한 것. ( No. 2D에 비해 광택과 평탄도가 양호함 ) |
일반용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냉간압연 제품으로 거의 전용도로 사용 |
NO.4 |
KS L 6001( 연마제 입도)의 규정에 따라 150~180번으로 연마한 것으로 No.3보다 연마상태가 미세함. |
건축용, 주방용품, 차량용, 의료기구, 식품설비 등 |
BA |
냉간압연후 광휘열처리를 한 제품으로 고도의 반사율 및 광택을 가짐 . |
자동차부품, 가전제품, 주방용품, 장식품, 건축용 등 |
HL |
적당한 입도의 연마재를 사용하여 연속 연마무늬가 생기도록 연마한 제품. |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제품 |
NO. 8 |
상당한 광택 및 반사기능을 가진 연마 제품으로 800Mesh 이상의 연마재로 Buff를 회전시켜 만들며 연마흔적이 나타남.(건식) |
건축용, 반사경, 압판대용, 장식용 등 |
MR |
고도의 광택 및 반사기능을 가진 연마 제품으로 1000Mesh 이상의 연마재로 BUFF를 회전시켜 연속가공 연마한 제품으로 연마흔적이 거의 없음 |
건축용, 반사경, 압판대용, 장식용 등 |
| SUS304 에서 2B.1B란? |
스텐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및 표면 상태를 표기하는 기호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표기하는 종류 및 가공 및 표면 상태를 아래와 같이 분류 합니다 No.2B를 2B이런 식으로 많이 부릅니다
No.1 열간 압연 후 ANNEALING 및 산세처리한 것으로 냉간 압연용이나 PIPE용 소재로 쓰인다.
No.2D 냉간 압연 후 열처리 및 산세처리한 것으로 은백색의 DULL광택을 띤다. 석유화학 PLANT, 자동차 휠 또는 건축 자재 등으로 사용된다.
No.2B No.2D를 조질 압연한 것으로 No.2D보다 광택이 좋고 표면상태도 미려하다. 주방기구나 건축재,산업설비,의료기구 등으로 쓰인다.
No.3 No.2B를 100~120MESH의 연마재로 연마한 것으로 미려한 표면광택을 특징으로 하며 건축재나 공예제품 제작에 사용된다.
No.4 No.2D를 또는 No.2B를 150~180MESH의 연마재로 연마하여 부드러운 은백색의 표면을 가지며 용도는 주방기구를 비롯하여,의료기구,자동차 휠,건축자재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BA 냉간 압연 후 광휘 열처리를 한 것으로 반사율이 매우 높다. 자동차의 REAR MIRROR,주방기구,건축 자재등에 쓰인다.
HL No.4를 적당한 입도의 연마재로 연마하여 LINE성 무늬를 갖는다.건축물 내외장재,SASH,DOOR또는 ELEVATOR 제작용으로 쓰인다.
DULL No.2B에 防現성을 부여하기 위해 Dull Roll을 이용하여 요철을 전사시킨 것으로 건축물,차량용 등의 외장재,빛의 반사효과를 줄일 필요가 있는 곳에 사용된다.
#4. #8. 2B를 포리싱(표면을 광택이 나도록 표면 가공하는것)처리한 것으로 미러라고도 하며 건축물 내외장재,SASH,DOOR또는 ELEVATOR 제작용, 거울등에 쓰인다 #8이 광택이 더 좋다.
참고가 되시길....... | | |